본문 바로가기
키움 캐치

주식투자 장대양봉 중 절대 매수하면 안되는 이유는?

by 스톡로드 2024. 5. 17.
반응형

가위바위보를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한 손 말고 양손으로 하는 가위바위보 말이다. 두 개의 가위바위보를 내고 그중 하나를 내서 상대방을 이기는 게임말이다.

나는 보자기와 주먹을 내고, 상대방은 주먹과 가위를 내었을 경우 나는 무조건 주먹을 낸다면 비길 수는 있어도 100% 지지는 않을 것이다. 상대방도 이것을 아니까 주먹을 내겠지만 그중에 한 사람은 한번 더 생각해서 '저 사람이 주먹이 아닌 보자기를 낼 수도 있으니 나는 가위를 내야겠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10명 중 9명이 비겨도 그런 사람들 때문에 1번은 이길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나는 무조건 주먹만 낸다면 무조건 한 번은 이기게 되고 절대 질 수가 없는 구조가 된다.

주식시장에서도 이런 방법을 활용해야 돈을 벌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 이러한 구조를 발견하고 매일 그렇게만 하면 누적수익이 쌓이게 된다.

하지만 반대로 세력도 이런 구조적인 방법을 활용한다. 그 상황 중 하나를 예시로 들어보겠다.

주식시장에는 많은 종목이 있다. 그중에서는 인기가 있는 종목이 있을 것이고 없는 종목도 있을 것이다.

어떤 종목이 한참 올라갔다가 오랫동안 횡보를 하고 많은 사람들이 손절을 치고 떠난 종목이라면 가능하다.

세력은 밑에서부터 천천히 이 주식을 매집해 갈 것이다. 어느 정도 매집이 되었으면 이제 20%까지 급등을 시킨다. 시장참여자가 적으므로 눈 깜짝할 사이에 올려진다.

이때쯤 되면 개인투자자들은 '이종목이 뭐지?' 하고 어떤 회사이고 매출은 얼마고 순이익이 얼마나 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아! 이종목은 요즘 잘 올라가는 반도체 관련주구나?'하고 판단한다. 처음엔 올라가다 말겠지 하고 의심을 한다. 하지만 두세 번 더 올라와 주면 '어? 이 종목 미쳤네!' 하고 그때서야 들어가는 것이다.

그럼 이때부터 세력들은 들어올 때마다 밑에서 모아놓은 종목을 팔기 시작한다. 차트는 조정을 주기도 하고 다시 올리기도 하면서 더 많은 개인투자자들을 끌어들인다. 그렇게 피날레날.

마지막으로 10프로 이상의 급등을 할 때 세력들은 털어버린다. 그 모양이 바로 장대 윗꼬리가 되는 것이다.

그렇게 때문에 몸통으로 마감된 봉은 매집봉이다. 이후 다시 급상승을 할 때가 위험해진다. 어떤 경우는 갭상승을 시킨 후에 올라가다 터는 경우도 있고 어느 정도 올린 후 시초부터 시가를 고가를 만들며 주구창창 내려가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당한다. 어느 정도 올라왔을 때부터 관심종목에 넣고 한참 장중에 10%대에 매수를 한다면, 당신은 언제나 이런 위험성에 노출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매매를 해야 개인투자자들에게 유리할까?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 '가장 이 방법이 좋다'라고 생각되는 것은 매집봉 이후 조정이 왔을 때  종가나 다음날 시가에 들어가는 것이다.

그렇게 한다면 상투를 잡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안정적인 매매가 가능하다.



위 사진은 딥노이드다. 끝부분을 주목해 보자.
첫 번째 장대양봉 이후 두 번의 짧은 음봉은 조정을 한 것이다. 이틀정도의 조정을 주는 이유는 미수를 쓴 사람을 떨쳐내기 위해 보통 이틀 동안 조정이 오고 거래량도 점차 적다. 세력들이 더 이상 매수는 하지 않고 빠져나가는 사람만 계속해서 빠져나가기 때문에 첫 번째 날보다 두 번째 날의 거래량이 적은 것이다.

이후 거래량이 다시 살아나면서 다시 매집을 한다. 이전 고점을 약간 넘어선 위치까지 간 이후 다시 조정이 오고 있다. 그렇다면 다음봉은 다시 치는 봉이 되는 것이 유력하다. 그때는 매집이 될 수도 있고 세력이 털고 나가는 봉이 될 수 있다. 어떻든 외적인 시장의 뉴스가 나쁘지 않다면 이후의 봉은 올라갈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거래량 대비 많이 오르면 더 올릴 수 있을 것이고, 들어간 거래량에 비해서 왜 이것밖에 안 올라갔지? 라거 생각된다면 추가상승이 어렵다고 보고 약수익을 하고 빠져나오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이글의 요점은 바로 이것이다. 주가가 잘 오르고 있는 장대 양봉에 사지 말라. 대신 종가와 시가에 사는 습관을 들여서 상승분을 초기에서부터 먹어가는 매매구조로 항상 매매하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