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송금 기록만 있는데, 부당이득 반환 소송 가능할까?

by 스톡로드 2025. 3. 11.
반응형

은행 송금 내역만 남은 상태에서 상대방에게 돈을 돌려받으려면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할까요? 복잡한 법률 용어 없이 단계별로 알려드립니다.


1. 부당이득반환청구 소송의 핵심 조건

  • 돈을 잘못 보냈다는 증명: 송금 기록이 "착오"였음을 입증해야 합니다.
  • 상대방 정보 특정: 이름, 주소, 연락처 등 정확한 신원 확인이 필수입니다.

실패 사례:
A씨는 지인에게 500만 원을 송금했으나, 상대방이 연락을 끊었습니다. A씨는 상대방의 주소를 몰라 소장 접수 자체를 못 했습니다.


2. 송금 내역만 있다면? 은행 조회가 첫걸음!

은행 사실조회 신청 절차:

  1. 소장 접수: 법원에 "부당이득반환청구 소송" 소장을 제출합니다.
  2. 법원 발행 문서: "사실조회 요청서"를 받습니다.
  3. 은행 방문: 해당 은행 지점에 요청서 제출 → 예금주 실명 확인.

주의:

  • 본인 직접 조회 불가 → 반드시 법원 문서 필요
  • 수수료: 은행별 차이 (약 5,000~10,000원)

성공 사례:
B씨는 송금 기록으로 법원 조회 후 상대방 주소를 확보, 소송에서 승소해 300만 원을 돌려받았습니다.


3. 상대방 정보가 아예 없을 때 대처법

추적 가능한 단서:

  • 휴대폰 번호: 통신사에 조회 요청 (법원 협조 필요)
  • SMS 내역: "OOO님 계좌로 입금 완료" 메시지
  • 거래 메모: "월세 보증금" 등 특정 목적 기재

절차:

  1. 증거 수집: 휴대폰 캡처, 이메일 기록 등
  2. 가정보전소송: "소송 보전" 신청 → 상대방 정보 확보 후 본안 소송 진행

4. 소송 준비 체크리스트

  1. 송금 증거: 은행 거래내역서 (반드시 도장)
  2. 착오 증명:
    • 채권 관계 없음을 보이는 문자, 이메일
    • 주변인 증인 확보
  3. 소장 작성:
    • 청구 취지: "OOO원 반환 요구"
    • 원인: "착오 송금으로 부당이득 발생"

:

  • 전자소송 이용 시, 은행 내역 PDF 바로 첨부 가능
  • 변호사 선임: 소장 작성 오류 리스크 90% 감소

5. 상대방이 돈을 써버렸다면?

대응 전략:

  • 가압류 신청: 상대방 계좌 잔액 또는 재산 동결
  • 강제집행: 월급 추심, 차량 압류 등

중요:

  • 소송 승소 후 10년 이내 집행 필요
  • 추가 비용: 압류 수수료 약 7만 원

6. 실제 법원 판결 흐름

1심 평균 기간: 3~6개월
주요 쟁점:

  • 착오 여부: "실수로 보냈다"는 증거 충분성
  • 반환 거부 사유: 상대방이 "정당한 권리" 주장 (예: 대여금)

최근 판례:
2023년 7월, C씨는 전월세 계약 없이 2,000만 원을 송금했으나, 상대방이 "선금"이라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부당이득" 인정해 전액 반환 판결했습니다.


7. 예방책 & 팁

  • 거래 전 확인: 계좌번호 더블 체크
  • 메모 활용: 송금 시 "2024년 8월 월세" 등 목적 명시
  • 즉시 조치: 잘못 송금 시 당일 은행에 전화 (되돌리기 가능성↑)

모바일 뱅킹 활용:

  • 이체 한도 설정: 1일 100만 원으로 제한
  • 시스템 알림: 계좌번호 저장 시 "본인확인" 알림 설정

결론: 체계적인 준비가 승소의 키포인트!

송금 내역만으로도 소송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하지만 상대방 정보 확보 → 증거 수집 → 전문가 상담의 단계를 꼭 거쳐야 합니다. 포기하지 말고, 오늘 바로 은행 방문부터 시작하세요!
당신의 돈, 반드시 찾을 수 있습니다.

이자 100만원 약속했지만 안 준다면? 법원에선 어떻게 볼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