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R

렌탈사 합의금 요구, 정말 돈 내야 할까?

by 스톡로드 2025. 4. 28.
반응형

렌탈 계약은 편리하지만, 한 번 문제가 생기면 머리가 아플 때가 많습니다. 특히 연체로 인한 고소와 갑작스러운 합의금 요구는 소비자를 당황하게 만듭니다.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렌탈사와의 분쟁 해결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렌탈 계약의 숨은 조건

렌탈사는 가전제품을 빌려주면서 사은품을 줍니다. 하지만 이 사은품에는 “1년 내 3개월 이상 연체하지 않기” 같은 조건이 붙어있죠. 문제는 이 조건을 모르고 있다가 연체되면 사기죄로 고소당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 경험:
“사은품으로 50만 원 받을 때는 그냥 서명했어요. 그런데 3개월 연체하자마자 고소장이 왔죠. 경찰서에서 조서 작성하고 법원에서 벌금 50만 원을 내야 했어요. 그런데 이제 렌탈사에서 또 400만 원을 달라고 합니다. 이게 말이 되나요?”

렌탈 계약서의 작은 글씨를 읽지 않으면 이런 위험에 빠질 수 있습니다. 특히 “연체 시 법적 조치” 조항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2. 사기죄가 되는 이유

렌탈사가 연체를 사기죄로 고소하는 이유는 뭘까요? 법적으로 사기죄는 처음부터 돈을 내지 않을 생각으로 계약한 경우에 적용됩니다. 하지만 단순히 돈이 없어서 연체한 것은 채무불이행에 불과하죠.

  • 법원 판단 기준:
    • 렌탈료를 못 내서 연체 → 민사 문제
    • 일부러 계약을 속이고 연체 → 사기죄

하지만 렌탈사는 고객을 겁주기 위해 형사고소를 하기도 합니다. 위 사례에서 법원이 벌금 50만 원을 선고한 것은 “의도적 사기”보다는 실수로 본 것일 수 있습니다.


3. 합의금 400만 원의 정체

법원에서 벌금을 내고도 렌탈사가 합의금을 요구하는 것은 이중으로 요구하는 것입니다. 형사 처벌이 끝났다면 더 이상 돈을 낼 이유가 없죠. 다만, 렌탈사가 미납금이나 손해배상금을 청구할 수는 있습니다.

  • 합의금이 합당한지 확인하는 방법:
    1. 렌탈사에 계산 근거를 요청하세요.
    2. 실제로 렌탈사가 입은 손해가 400만 원인지 확인합니다.
    3. 계약서에 위약금 조항이 있는지 봅니다.

만약 계약서에 “연체 시 위약금 400만 원”이라고 적혀 있으면 어쩔 수 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거부할 수 있습니다.


4. 다른 렌탈사와 다른 이유

같은 제품을 다른 렌탈사에서 빌려도 문제가 없다면, 유독 한 곳만 문제인 이유가 궁금할 겁니다. 이는 렌탈사의 내부 정책 차이 때문입니다.

구분 문제의 렌탈사 다른 렌탈사
연체 정책 3개월 연체 시 즉시 고소 4개월까지 유예
대응 방식 합의금 요구 미납금만 청구
고객 관리 강한 압박 협상 우선

어떤 렌탈사는 고객을 겁주어 빨리 돈을 받기 위해 고소를 남용하기도 합니다.


5. 소비자가 할 수 있는 일

이런 상황에서 소비자로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계약서 다시 보기:
    • 연체 시 패널티 조항
    • 사은품 수령 조건
  2. 법적 도움 받기:
    • 대한법률구조공단 (www.klac.or.kr)
    • 지역 소비자상담센터 방문
  3. 합의금 협상:
    • 렌탈사에 계산 근거 요청
    • 부당하면 거부
  4. 증거 수집:
    • 렌탈사와의 통화 녹음
    • 문자 메시지 보관

6. 전문가의 조언

법률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겠습니다.

“렌탈사가 형사고소 후 합의금을 요구하는 것은 부당할 수 있습니다. 벌금을 낸 후에는 형사적 책임이 끝났기 때문이죠. 하지만 미납금이 있다면 그건 별도입니다. 합의금을 요구할 때는 반드시 계산서를 요청하고, 부당하면 소비자보호원에 도움을 요청하세요.”


7. 앞으로 렌탈 계약 시 주의사항

다음번엔 이런 문제를 피하려면:

  • 계약서 꼼꼼히 읽기:
    작은 글씨도 빠짐없이 확인
  • 연체 방지:
    자동이체 설정 또는 알림 서비스 가입
  • 사은품 조건 확인:
    “연체 시 패널티”가 있는지 확인

8. 만약 또 고소당하면?

렌탈사가 합의금을 안 내면 다시 고소하겠다고 협박한다면:

  • 협박 내용 녹음:
    강요죄로 역고소 가능
  • 공정거래위원회 신고:
    부당한 계약 조항 신고 (전화 1372)
  • 소비자단체 도움:
    한국소비자원 (www.kca.go.kr)에 상담

렌탈 분쟁, 현명하게 해결하기

렌탈사와의 문제는 두렵지만 알고 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계약서를 꼼꼼히 읽고, 법적 권리를 알아두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합의금 요구가 부당하다면 거절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 소비자도 자신의 권리를 지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