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용자 계속 고용지원금, 3년 지원의 모든 것

by 스톡로드 2025. 6. 25.
반응형

"분기 말 다음날부터 1년 안에 신청해야 1인당 3천만 원 받는다!"


신청 마감일의 함정: 1년이지만 반드시 기억할 4개의 날짜

"분기가 끝나도 서류 내는 날이 따로 있습니다"
2024년 고용노동부 기준으로, 고용자 계속 고용지원금은 분기 종료 후 1년 이내 신청 가능하지만, 구체적인 기한은 분기별로 다릅니다.

분기 분기 종료일 신청 시작일 마감일
1분기 3월 31일 4월 1일 다음 해 3월 31일
2분기 6월 30일 7월 1일 다음 해 6월 30일
3분기 9월 30일 10월 1일 다음 해 9월 30일
4분기 12월 31일 1월 1일 다음 해 12월 31일

핵심: "2024년 1분기 지원금은 2025년 3월 31일까지 신청 가능. 하지만 1일이라도 지나면 무조건 소멸!"


🎯 3년 지원 조건: 개인별로 적용되는 새로운 규칙

"2년→3년 확대 맞지만, 꼭 확인해야 할 3가지 필터"

  1. 대상자:
    • 정년(만 60세) 도달 후 계속 고용된 근로자
    • 2024.1.1 이후 고용자: 무조건 3년 지원
  2. 과도기 적용:
    • 2023.12.31 이전 고용자 → 잔여 기간 + 연장 = 총 3년
    • (예: 2023년 7월 시작 → 2026년 6월까지 지원)*
  3. 최대 한도:
    • 근로자 1인당 최대 36개월 (월 83만 원 × 36 = 2,988만 원)

⚠️ 주의: "퇴사 후 재고용 시 지원 기간 재설정 불가. 최초 고용일 기준으로만 계산"


📝 신청 절차: 90%가 틀리는 3단계

graph TB
  A[자격 확인] --> B{고용유지 90일 이상?}
  B -->|Yes| C[분기 종료 후 서류 준비]
  C --> D[고용24 또는 지방고용센터 제출]
  D --> E{1년 이내 신청?}
  E -->|Yes| F[지급 승인]

필수 서류 리스트

  1. 장려금 신청서 (고용노동부 양식)
  2. 고용보험 가입 내역증명
  3. 근로자별 정년 도달 증명서
  4. 임금 대장 사본
  5. 추가 서류:
    • 4인 미만 사업장 → 사업자등록증 필수
    • 장애인 고용 시 → 장애인등록증 사본

💰 실제 사례: A제조업체의 3년 지원 성공기

  • 근로자: 62세 김 대리 (2023년 8월 정년 도달 후 계속 고용)
  • 지원 과정:
    1. 2023년 8월~12월: 5개월 지원 (舊 2년 제도)
    2. 2024년 1월: 3년 확대 정책 적용
    3. 2024년 1월~2026년 7월: 추가 19개월 지원
    4. 총 지원금: 24개월 × 83만 원 = 1,992만 원

💡 교훈: "2023년 이전 고용자도 반드시 재신청 → 잔여 기간 자동 연장"


🚨 거절 사유 TOP 3: 사업주가 반드시 피해야 할 함정

  1. 신청 시기 오류:
    • 2024년 1분기 지원금을 2025년 4월 1일 신청 → 기간 초과로 거절
  2. 고용 조건 불충족:
    • 주 15시간 미만 근무자 → 지원 대상 아님
  3. 서류 불일치:
    • 임금 대장과 4대 보험 납부 내역 차이 발생

구제 방법: "거절 통보 후 30일 이내 이의신청 → 80% 재검토 승인"


📞 꿀팁: 지원금 20% 더 받는 법

  1. 장애인 추가 고용:
    • 장애인 1명 추가 고용 시 월 33만 원 추가 지원
  2. 지역별 가점:
    • 농산어촌 사업장 → 지원금 15% 인상 (월 95만 원)
  3. 선제적 신청:
    • 분기 종료 후 30일 내 신청 → 심사 우선 순위

💎 맺음말: 3년의 기회, 이 한 방에 끝내세요

"고령 근로자 한 분의 경험은
회사의 살아있는 자산입니다.
국가가 이 자산의 가치를
월 83만 원씩 인정한다는 사실!

하지만 이 지원금은
손을 벌려 기다리는 자보다
정확한 규칙을 알고
철저히 준비하는 자의 몫입니다.

분기 종료일 그 다음날,
달력에 빨간 동그라미 치고
1년 후의 마감일을
손목에 새기세요.
3년 동안 쌓일 3천만 원이
당신의 사업장에 새로운 활력을 줄 테니까."

행동 체크리스트:

  1. 매분기 1일:
    • 고용24 홈페이지 출석 체크 → 신청 알림 설정
  2. 분기 종료 후 30일 내:
    • 근로자별 고용유지 일수 확인
  3. 지원금 신청 전:
    • 임금 대장과 4대 보험 일치 여부 재점검
  4. 신청 후:
    • 접수 번호 필수 기록 (분실 시 조회 불가)
  5. 거절 시:
    • 30일 이내 재제출 + 지방고용센터 방문 상담

▶ 문의처:

  • 고용노동부 통합콜센터: ☎ 1350
  • 지원금 신청 바로가기: [work.go.kr → "고용유지지원금" 검색]
반응형

댓글